맨위로가기

이자 (해부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자(췌장)는 상복부에 위치한 분비 기관으로, 소화와 혈당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부학적으로 머리, 목, 몸통, 꼬리로 나뉘며, 십이지장, 비장, 위 등과 인접해 있다. 췌장은 외분비 기능과 내분비 기능을 모두 수행하며, 외분비 기능은 소화 효소를 분비하여 음식물 분해를 돕고, 내분비 기능은 인슐린, 글루카곤 등의 호르몬을 분비하여 혈당을 조절한다. 췌장염, 췌장암, 당뇨병 등 다양한 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췌장암은 조기 진단이 어렵고 예후가 좋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자 (해부학) - 랑게르한스섬
    랑게르한스섬은 췌장에 분포하며 인슐린, 글루카곤 등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 세포로 구성된 미세 구조이며, 당뇨병 치료 및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생물의 기관 - 오장육부
    오장육부란 한의학에서 생명 유지 활동을 주관하는 오장(간, 심, 비, 폐, 신)과 소화, 흡수, 배설을 담당하는 육부(담, 소장, 위, 대장, 방광, 삼초)를 통칭하는 기능적, 관계적 개념으로, 음양오행 철학에 기반하여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현대 의학에서는 유사과학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생물의 기관 - 머리카락
    머리카락은 털과 털주머니로 구성된 털 기관의 일부로서 몸을 보호하고 보온하며, 모수질, 모피질, 모표피의 3중 구조와 멜라닌 색소로 색깔이 결정되고, 모주기를 거치면서 화학적, 물리적 요인에 따라 성질이 변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외분비계 - 유방
    유방은 여성의 가슴에 있는 기관으로, 모유를 생산하여 신생아에게 영양을 공급하며, 엽과 소엽으로 구성되고, 크기와 모양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르며, 유방암 발생 부위이자 문화적 상징으로서의 의미도 가진다.
  • 외분비계 - 정낭
    정낭은 남성의 방광 아래에 위치한 한 쌍의 기관으로, 정액의 주요 성분을 분비하여 정자에 에너지를 공급하며, 사정 시 수축하여 내용물을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자 (해부학)
개요
사람의 췌장 해부
사람의 해부
라틴어pancreas
그리스어πάγκρεας (pánkreas)
전구체췌장 싹
계통소화 계통 및 내분비계
혈액 공급
동맥아래췌장십이지장동맥
앞위췌장십이지장동맥
뒤위췌장십이지장동맥
비장동맥
정맥췌장십이지장정맥
췌장정맥
신경 공급
신경췌장 신경얼기
복강 신경절
미주신경
림프 배수
림프비장 림프절
복강 림프절
위창자간막 림프절
추가 정보
설명척추동물의 소화 기관 및 내분비 기관

2. 구조

이자는 상복부에 위치한 분비 기관으로, 뒤쪽에 있으며 십이지장비장 사이에 위치한다. 길이는 약 15cm 정도이며, 해부학적으로 머리, 목, 몸통, 꼬리의 네 부분으로 나뉜다. 머리 부분은 십이지장에 둘러싸여 있고, 몸통은 복부 뒤쪽에, 꼬리는 비장에 인접해 있다. 췌장은 쐐기 모양이며, 상장간막 동맥과 상장간막 정맥을 둘러싼다.

췌장 안에는 췌장에서 만들어진 췌액을 십이지장까지 운반하는 주췌관과 부췌관이 지나간다. 주췌관은 총담관과 합쳐져 바터 팽대부를 형성하고, 오디 괄약근에 의해 조절된다. 부췌관은 주췌관의 개구부 위에 별도의 개구부가 위치한다.

2. 1. 췌장 머리

이자의 머리 부분은 십이지장에 둘러싸여 있으며, 총 길이는 15cm 정도 된다.

췌장의 머리는 십이지장의 굴곡 안에 위치하며, 위창자간막 동맥과 위창자간막 정맥을 감싸고 있다. 오른쪽에 십이지장의 하행부가 위치하며, 이들 사이로 상부 및 하부 샘창자 동맥이 지나간다. 뒤에는 하대정맥과 총담관이 위치한다. 앞에는 복막과 가로결장이 위치한다. 작은 갈고리돌기가 머리 아래에서 뻗어 나와 위창자간막 정맥 뒤에 위치하며 때로는 위창자간막 동맥 뒤에 위치하기도 한다.

2. 2. 췌장 몸통

이자의 몸통은 이자의 가장 큰 부분이며, 대부분 뒤쪽에 위치하며 길이를 따라 가늘어진다. 복막은 이자의 몸통 위에 위치하며, 가로결장은 복막 앞에 위치한다.[1] 이자 뒤에는 대동맥, 지라 정맥, 왼쪽 신장 정맥을 포함한 여러 혈관과 위창자간막 동맥의 시작 부분이 있다.[1] 이자의 몸통 아래에는 소장의 일부, 특히 십이지장의 마지막 부분과 연결되는 공장, 그리고 이 둘 사이에 위치하는 십이지장 현수인대가 있다. 이자 앞에는 가로결장이 위치한다.[2]

2. 3. 췌장 꼬리

지라 근처에 위치한다. 길이는 보통 1.3cm에서 3.5cm 사이이며, 지라와 왼쪽 콩팥 사이의 인대 층 사이에 위치한다. 지라 동맥과 지라 정맥은 췌장의 몸통 뒤를 지나 췌장의 꼬리 뒤를 지난다.[1]

2. 4. 췌관

췌장은 췌장에서 만들어진 췌액을 십이지장까지 운반하는 관인 '''췌관'''을 가지고 있다. 췌관은 십이지장 쪽으로 갈수록 합류하며, 최종적으로 주췌관과 부췌관 두 개가 되어 십이지장과 연결된다. 주췌관은 십이지장과 연결되기 전에 담낭에서 담즙이 흘러 들어오는 총담관과 합류한다. 췌관은 십이지장의 벽을 관통하여 췌액을 분비하는데, 췌관이 열리는 부분은 장 안쪽으로 솟아 있으며, 이를 파터 유두(십이지장 유두)라고 부른다. 이 부분에는 오디 괄약근이라는 평활근이 있어 췌액의 분비를 조절한다. 분비된 췌액은 파터 유두(대십이지장 유두) 및 부유두(소십이지장 유두)에서 십이지장으로 보내진다.

2. 5. 혈액 공급

췌장은 복강 동맥과 상장간막 동맥의 가지들로부터 풍부한 혈액 공급을 받는다. 비장 동맥은 복강 동맥의 가장 큰 가지로, 췌장 위를 따라 주행하며 췌장의 몸통과 꼬리 부분에 혈액을 공급한다. 췌장의 몸통과 꼬리 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췌장 가지들 중 가장 큰 가지를 큰 췌장 동맥이라고 한다. 상 췌십이지장 동맥과 하 췌십이지장 동맥은 십이지장과 인접한 췌장 머리의 뒤쪽과 앞쪽 표면을 따라 주행하며 췌장 머리에 혈액을 공급하고, 이 혈관들은 중간에서 서로 연결된다.

췌장의 몸통과 목 부분의 혈액은 췌장 뒤에 위치한 비장 정맥으로 배출된다. 머리 부분의 혈액은 췌십이지장 정맥을 통해 상장간막 정맥 및 문맥으로 배출된다.

2. 6. 림프 배출

이자에는 췌장동맥을 따라 주행하는 많은 수의 림프관이 있다. 이 림프관들은 지라의 림프절과 대동맥 앞의 림프절로 림프액을 배출한다.

2. 7. 미세 구조

췌장은 외분비샘내분비샘(랑게르한스 섬)으로 구성된다.[1] 췌장 부피의 95% 이상은 외분비샘이 차지하며, 랑게르한스 섬은 나머지 부분을 구성한다.

2. 7. 1. 외분비샘

침샘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췌액을 분비하는 세포는 10여 개로 하나의 선방을 구성하며, 그 안쪽의 좁은 틈새에 췌액을 분비한다. 선방에는 매우 가는 도관(분지 췌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분지 췌관은 점차 합류하여 췌액을 주췌관과 부췌관으로 이끈다. 분비된 췌액은 파터 유두(대십이지장 유두) 및 부유두(소십이지장 유두)에서 십이지장으로 보내진다.[1]

췌액은 외분비 세포의 분비액이며, 선방 세포에서 분비된 다종의 소화 효소를 포함하는 분비액과, 도관부에서 분비된 알칼리성 분비액의 혼합물이다. 소화 효소의 대부분은 활성화를 갖지 않는 전구체(예: 키모트립시노겐)로 분비되며, 이것이 위액 중의 펩신이나 소장상피의 융모막에 존재하는 펩티다아제의 작용으로 부분 분해됨으로써 활성을 갖는 효소(예: 키모트립신)가 된다. 이는 강력한 분해 효소인 췌 효소에 의해 췌장 자신이 소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1]

췌관의 폐색에 의한 췌액의 울체나 기타 어떤 원인에 의해 췌장 내에서 췌 효소가 활성화되면, 췌장 자신의 자가 소화가 일어나 급성 췌장염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췌액 중에는 단백질 분해 효소인 키모트립신과 트립신, 탄수화물의 분해에 작용하는 췌액 아밀라아제, 지질의 분해에 작용하는 리파아제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식품의 대략적인 분해에 기여한다. 즉, 단백질이나 전분을 각각 올리고펩티드(펩타이드)나 말토스까지 분해한다. 이 이후의 소화는 소장 상피의 융모막에 존재하는 효소의 역할이다.[1]

췌 효소의 적정 수소 이온 지수는 약간 알칼리 쪽에 치우쳐 있으며, 췌액 중의 높은 농도의 중탄산염이 강한 산성인 위액을 중화하여 소화 효소의 작용을 돕는다. 혈중의 아밀라아제나 리파아제는 췌장염의 마커로 사용된다. 이 효소는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도 생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혈청 아밀라아제의 상승이 곧 췌장염의 존재를 나타낸다고 해석할 수는 없다. 면역학적으로 췌액 아밀라아제와 타액 아밀라아제(프티알린) 등을 구별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반드시 모든 병원에서 가능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혈청 아밀라아제의 해석에는 주의를 요한다. 한편, 혈청 리파아제는 비교적 췌장의 이상에 대해 특이도가 높다고 한다.[1]

2. 7. 2. 랑게르한스 섬 (내분비샘)

이자(췌장)는 혈당 수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물결선으로 표시). 혈당 수치가 너무 높으면 이자는 인슐린을 분비하고, 수치가 너무 낮으면 이자는 글루카곤을 분비한다.


이자(췌장) 속 세포는 혈당 수치를 유지하는 항상성에 도움을 준다. 이 역할을 하는 세포는 이자 전체에 존재하는 랑게르한스 섬 내에 위치한다. 혈당 수치가 낮으면 알파 세포글루카곤을 분비하여 혈당 수치를 증가시킨다. 혈당 수치가 높으면 베타 세포인슐린을 분비하여 혈액 내 포도당을 감소시킨다. 랑게르한스 섬의 델타 세포는 소마토스타틴을 분비하여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방출을 감소시킨다.[13]

이자 내에 흩어져 있는 랑게르한스 섬의 수는 20만 개에서 200만 개 정도로 알려져 있다. 표본을 제작하여 랑게르한스 섬을 특수한 염색법으로 관찰하면, 랑게르한스 섬을 구성하는 세포는 염색액에 의한 염색 정도의 차이로 인해 α 세포 (A 세포), β 세포 (B 세포), δ 세포 (D 세포), PP 세포 등으로 나뉜다. α 세포는 글루카곤, β 세포는 인슐린, δ 세포는 소마토스타틴, PP 세포는 Pancreatic polypeptide|췌장 폴리펩티드영어를 분비하는 세포이다.

글루카곤은 혈당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인슐린은 호르몬 중에서 유일하게 혈당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한다.

인슐린과 글루카곤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혈장 내 포도당 수치이다.[13] 낮은 혈당은 글루카곤 분비를 자극하고, 높은 혈당은 인슐린 분비를 자극한다. 다른 요인들도 이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미친다. 단백질 소화의 부산물인 일부 아미노산은 인슐린과 글루카곤 분비를 자극한다. 소마토스타틴은 인슐린과 글루카곤 모두의 억제제로 작용한다. 자율 신경계도 역할을 한다. 교감 신경계의 카테콜아민에 의해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인슐린과 글루카곤 분비가 자극되는 반면,[13][14] 알파-1 아드레날린 수용체 활성화는 분비를 억제한다.[13] 부교감 신경계의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M3는 적절한 미주 신경에 의해 자극을 받으면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방출을 자극하는 작용을 한다.[13]

인슐린 저항성 등에 의해 생긴 고혈당 상태는 β 세포 내에서 다량의 활성산소종 생성 및 단백질과 포도당 간의 당화 반응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당독성이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β 세포의 인슐린 함량 감소 및 β 세포 수 감소를 일으킨다고 생각된다.[39]

헵시딘(:en:Hepcidin)은 주로 간에서 생성되는 일종의 펩타이드 호르몬이며, 장으로부터의 과잉 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여 철 대사 조절을 수행한다. 이 헵시딘은 이자 β 세포에서도 발현된다. 이는 이자 β 세포가 당 대사뿐만 아니라 철 대사에도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철 결합성 단백질의 일종인 페리틴 수치 증가는 당뇨병 위험과의 상관관계가 지적되고 있다.[40]

3. 기능

췌장은 혈당 조절과 대사, 그리고 소화를 돕는 췌액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췌장의 기능은 크게 "내분비"와 "외분비" 두 가지로 나뉜다. 내분비 기능은 인슐린 등 호르몬 분비를 통해 혈당 수치와 신체 대사를 조절하는 것이고, 외분비 기능은 소화 효소를 분비하여 음식물 소화를 돕는 것이다.[15]

췌장은 혈관활성 장 펩타이드와 췌장 폴리펩타이드를 분비하며, 췌장의 장크롬친화성 세포는 모틸린, 세로토닌, 물질 P와 같은 호르몬을 분비한다.[16][17]

3. 1. 외분비 기능

췌장은 소화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샘포위라고 하는 덩어리로 배열된 세포에서 소화 효소를 포함하는 액체를 십이지장으로 분비한다. 이 효소들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분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15] 매일 약 1.5–3 리터의 췌액이 분비된다.

샘포위 세포는 소화 효소를 포함하는 과립으로 채워져 있으며, 이들은 자이모겐 또는 전효소라고 하는 비활성 형태로 분비된다. 십이지장으로 방출되면 십이지장 내벽에 존재하는 효소 엔테로키나아제에 의해 활성화되어 효소 활성화의 폭포를 만든다.

  • 단백질 분해 효소는 트립시노겐트립신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시작한다. 자유 트립신은 나머지 트립시노겐뿐만 아니라 키모트립시노겐을 활성 형태인 키모트립신으로 절단한다.
  • 지방 소화에 관여하는 분비 효소에는 리파아제, 인산지질가수분해효소 A2, 라이소포스포리파아제, 콜레스테롤 에스터라제 등이 있다.
  • 전분 및 기타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효소에는 아밀라아제가 있다.


이러한 효소는 중탄산염이 풍부한 액체에 분비된다. 중탄산염은 액체의 알칼리성 pH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데, 이는 대부분의 효소가 가장 효율적으로 작용하는 pH이며, 십이지장으로 들어가는 위산을 중화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췌액 분비는 세크레틴, 콜레시스토키닌, VIP를 포함한 호르몬의 영향을 받으며, 미주 신경으로부터의 아세틸콜린 자극을 받는다. 세크레틴은 위산 자극에 반응하여 십이지장 내벽의 S 세포에서 방출되며, VIP와 함께 효소와 중탄산염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콜레시스토키닌은 대부분 장쇄 지방산에 반응하여 십이지장과 공장(빈창자) 내벽의 I 세포에서 방출되며, 세크레틴의 효과를 증가시킨다.[15]

췌장의 소화 작용이 췌장 조직 자체를 소화하지 않도록 다양한 메커니즘이 작용한다. 여기에는 비활성 효소(자이모겐)의 분비, 트립신을 비활성화하는 보호 효소 트립신 억제제의 분비, 췌장이 자극될 때만 소화를 자극하는 중탄산염 분비와 함께 발생하는 pH 변화, 세포 내 낮은 칼슘이 트립신의 비활성화를 유발한다는 사실이 포함된다.

췌액은 외분비 세포의 분비액이며, 선방 세포에서 분비된 다종의 소화 효소를 포함하는 분비액과, 도관부에서 분비된 알칼리성 분비액의 혼합물이다. 소화 효소의 대부분은 활성화를 갖지 않는 전구체(예: 키모트리프시노겐)로 분비되며, 이것이 위액 중의 펩신이나 소장상피의 융모막에 존재하는 펩티다아제의 작용으로 부분 분해됨으로써 활성을 갖는 효소(예: 키모트리프신)가 된다.

췌액에는 단백질 분해 효소인 키모트리프신과 트립신, 탄수화물의 분해에 작용하는 췌액 아밀라아제, 지질의 분해에 작용하는 리파아제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음식물의 소화에 기여한다. 즉, 단백질이나 전분을 각각 올리고펩티드(펩티드)나 말토스까지 분해한다.

췌 효소의 적정 pH는 약간 알칼리 쪽에 치우쳐 있으며, 췌액 중의 높은 농도의 중탄산염이 강한 산성인 위액을 중화하여 소화 효소의 작용을 돕는다.

3. 2. 내분비 기능



이자 속 세포는 혈당 수치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항상성). 이 역할을 하는 세포는 이자 전체에 존재하는 이자섬 내에 위치한다. 혈당 수치가 낮으면 알파 세포글루카곤을 분비하여 혈당 수치를 증가시킨다. 혈당 수치가 높으면 베타 세포인슐린을 분비하여 혈액 내 포도당을 감소시킨다. 이자섬의 델타 세포는 소마토스타틴을 분비하여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방출을 감소시킨다.[13]

글루카곤은 간에서 포도당 생성과 글리코겐 분해를 촉진하여 포도당 수치를 증가시킨다. 또한 지방과 근육에서 포도당 섭취를 감소시킨다. 글루카곤 분비는 낮은 혈당이나 인슐린 수치, 운동 중에 자극을 받는다. 인슐린은 세포(특히 골격근)의 섭취를 촉진하고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물 생성에 사용을 촉진하여 혈당 수치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인슐린은 처음에 프리프로인슐린이라는 전구체 형태로 생성된다. 이것은 프로인슐린으로 전환되어 C-펩타이드에 의해 절단되어 인슐린이 되며, 이 인슐린은 베타 세포의 과립에 저장된다. 포도당은 베타 세포로 유입되어 분해된다. 이의 최종 효과는 세포막의 탈분극을 유발하여 인슐린의 방출을 자극하는 것이다.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혈장 내 포도당 수치이다.[13] 낮은 혈당은 글루카곤 분비를 자극하고, 높은 혈당은 인슐린 분비를 자극한다. 다른 요인들도 이 호르몬의 분비에 영향을 미친다. 단백질 소화의 부산물인 일부 아미노산은 인슐린과 글루카곤 분비를 자극한다. 소마토스타틴은 인슐린과 글루카곤 모두의 억제제로 작용한다. 자율신경계도 역할을 한다. 교감신경계카테콜아민에 의해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가 자극되는 반면,[13][14] 알파-1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활성화는 분비를 억제한다.[13] 부교감신경계의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적절한 미주신경에 의해 자극을 받으면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의 방출을 자극하는 작용을 한다.[13]

이자는 혈관작용성 장 펩타이드와 이자 폴리펩타이드를 분비한다. 이자의 장크롬친화성 세포는 모틸린, 세로토닌, 물질 P 호르몬을 분비한다.

4. 관련 질환

췌장과 관련된 질환은 다음과 같다.


  • 췌장염: 췌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급성 췌장염과 만성 췌장염으로 나뉜다.
  • 췌장암: 췌장에 생기는 암으로, 선암종이 가장 흔하다.
  • 당뇨병: 췌장의 인슐린 분비 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1형 당뇨병과 2형 당뇨병으로 나뉜다.
  • 기타 췌장 질환:
  • * 췌장 내분비 종양 (인슐린종, 글루카곤종, 가스트린종, WDHA 증후군)
  • * 췌담관 합류 이상
  • * 췌장 낭종, 가성 췌장 낭종
  • * 췌석
  • * 지방 췌장

4. 1. 췌장염

췌장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췌장염이라고 한다. 췌장염은 주로 반복되는 담석이나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 때문에 발생한다. 그 외에도 외상, ERCP 후 손상, 일부 약물, 유행성 이하선염 같은 감염,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매우 높은 경우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급성 췌장염은 등 쪽으로 뻗치는 심한 복부 중앙 통증을 일으키며, 메스꺼움이나 구토를 동반하기도 한다. 심한 경우 췌장에 출혈이나 구멍이 생겨 쇼크나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고, 옆구리에 멍이 들거나 배꼽 주변에 멍이 생길 수도 있다. 이러한 심각한 합병증은 중환자실에서 치료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1]

췌장염이 생기면 외분비 췌장의 효소가 췌장 구조와 조직을 손상시킨다. 혈액 검사에서 아밀라아제나 리파아제 같은 효소 수치가 높게 나오고, 초음파나 CT 스캔 같은 의료 영상 소견을 종합하여 췌장염을 진단한다. 췌장염 치료는 진통제로 통증을 완화하고, 쇼크를 예방하거나 관리하며, 원인에 따라 담석 제거, 혈중 중성지방 또는 포도당 수치 감소, 자가면역 췌장염에 대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 약물 중단 등을 시행한다.[1]

만성 췌장염은 췌장염이 오랜 시간에 걸쳐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만성 알코올 섭취가 가장 흔한 원인이며, 반복적인 급성 췌장염이나 낭성 섬유증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앞으로 앉거나 알코올을 마시면 완화되는 복통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췌장의 소화 기능이 심하게 저하되면 지방 소화에 문제가 생겨 지방변증이 나타날 수 있고, 내분비 기능이 저하되면 당뇨병이 생길 수도 있다. 만성 췌장염은 급성 췌장염과 비슷한 방법으로 진단한다. 통증과 메스꺼움을 관리하고, 원인(알코올 중단 포함)을 치료하는 것 외에도, 췌장의 소화 효소 흡수 불량을 막기 위해 효소 대체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1]

4. 2. 췌장암

췌장암은 췌장 머리에서 선암종으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증상(피부 황달, 통증 또는 가려움 등)이 질병 후기에 나타나기 때문에 종종 더 늦은 암 병기에서 나타나 치료 선택의 폭이 제한적이다.


350px


췌장암, 특히 가장 흔한 유형인 췌장 선암종은 치료가 매우 어려우며, 수술 외에는 유일한 치료법이 없는 너무 늦은 단계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췌장암은 40세 미만에서는 드물며, 중앙값 진단 연령은 71세이다.[19] 위험 요인으로는 만성 췌장염, 고령, 흡연, 비만, 당뇨병, 다발성 내분비 종양 1형, 유전성 비용종성 대장암, 이형성 모반 증후군을 포함한 특정 희귀 유전 질환 등이 있다.[20] 사례의 약 25%는 흡연에 기인하며,[21] 사례의 5~10%는 유전과 관련이 있다.[19]

췌장 선암종은 췌장암의 가장 흔한 형태이며, 췌장의 외분비 소화 부분에서 발생하는 암이다. 대부분은 췌장 머리에서 발생한다. 증상은 암 진행 후기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복통, 체중 감소 또는 피부 황달(황달)을 유발할 때 나타난다. 황달은 담즙의 유출이 암에 의해 차단될 때 발생한다. 다른 덜 흔한 증상으로는 메스꺼움, 구토, 췌장염, 당뇨병 또는 재발성 정맥 혈전증이 있다. 췌장암은 일반적으로 의료 영상인 초음파 또는 조영 증강 CT 스캔으로 진단된다. 종양이 수술 제거를 고려 중인 경우 내시경 초음파를 사용할 수 있으며, ERCP 또는 초음파에 의한 생검을 사용하여 불확실한 진단을 확인할 수 있다.

증상이 늦게 나타나기 때문에 대부분의 암은 진행된 암 병기에서 나타난다. 종양의 10~15%만이 수술 절제에 적합하다. 화학 요법을 투여할 때 플루오로우라실, 이리노테칸, 옥살리플라틴, 류코보린을 포함하는 FOLFIRINOX 요법이 기존의 젬시타빈 요법보다 생존 기간을 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치료는 완화 치료이며, 발생하는 증상 관리에 중점을 둔다. 여기에는 가려움증 관리, 담관 공장 문합술 또는 담즙 배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스텐트 삽입(ERCP) 및 통증 조절을 돕는 약물이 포함될 수 있다. 미국에서 췌장암은 암으로 인한 사망 원인 중 네 번째로 흔하다.[22] 이 질병은 선진국에서 더 자주 발생하며, 2012년에 신규 사례의 68%를 차지했다.[23] 췌장 선암종은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지 않으며 진단 후 1년 및 5년 이상 생존하는 평균 비율은 각각 25%와 5%이다.[23][24] 국소 질환의 경우 암이 작을 때(2cm 미만) 5년 생존자는 약 20%이다.[25]

췌장암에는 여러 유형이 있으며, 내분비 및 외분비 조직 모두를 포함한다. 많은 유형의 췌장 내분비 종양은 모두 흔하지 않거나 드물며, 다양한 전망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암의 발생률(역학)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의료 영상을 통해 매우 천천히 발달하는 종양의 탐지가 증가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인슐린종(주로 양성)과 가스트린종이 가장 흔한 유형이다.[26] 신경내분비암 환자의 경우, 5년 후 생존자는 65%로 훨씬 더 높으며, 유형에 따라 크게 다르다.[23]

고형 가성 유두 종양은 젊은 여성에게 전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두 구조의 췌장의 저등급 악성 종양이다.[27]

4. 3. 당뇨병

이자의 인슐린 분비 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1형 당뇨병과 2형 당뇨병으로 나뉜다.

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 질환의 일종으로, 면역 체계가 이자의 인슐린 분비 베타 세포를 공격하는 만성 질환이다.[28] 인슐린은 최적의 범위 내에서 혈당 수치를 유지하는 데 필요하며, 인슐린이 부족하면 고혈당을 유발할 수 있다. 치료하지 않으면 가속화된 혈관 질환, 당뇨병성 망막증, 신장 질환 및 신경병증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28] 또한, 세포 내에서 포도당을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인슐린이 없으면, 당뇨병성 케톤산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1형 당뇨병 환자가 처음으로 겪을 수 있는 응급 상황이다. 1형 당뇨병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40세 이전에 가장 흔하게 진단된다.[28] 1형 당뇨병 환자에게는 생존을 위해 인슐린 주사가 필수적이다.[28] 1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실험적 절차로는 기능하는 베타 세포를 사람에게 공급하기 위한 췌장 이식 또는 분리된 섬세포 이식이 있다.[28]

2형 당뇨병은 가장 흔한 형태의 당뇨병이다.[28] 이 당뇨병에서 고혈당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인슐린 저항성과 손상된 인슐린 분비의 조합이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모두 질병 발달에 영향을 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자의 베타 세포는 "고갈"되어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28]

이자와 관련하여, 특히 베타 세포에 직접 작용하는 설포닐우레아, 식사 후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는 호르몬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의 작용을 복제하고 분해에 더 강한 인크레틴 및 인크레틴의 분해를 늦추는 DPP-4 억제제와 같은 여러 약물이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강화하는 작용을 한다.

인슐린 저항성 등에 의해 생긴 고혈당 상태는 β 세포 내에서 다량의 활성산소종 생성 및 단백질과 포도당 간의 당화 반응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당독성이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β 세포의 인슐린 함량 감소 및 β 세포 수 감소를 일으킨다고 생각된다.[39]

헵시딘(:en:Hepcidin)은 주로 간에서 생성되는 일종의 펩타이드 호르몬이며, 장으로부터의 과잉 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여 철 대사 조절을 수행한다. 이 헵시딘은 이자 β 세포에서도 발현된다. 이는 이자 β 세포가 당 대사뿐만 아니라 철 대사에도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철 결합성 단백질의 일종인 페리틴 수치의 증가는 당뇨병 위험과의 상관관계가 지적되고 있다.[40]

4. 4. 기타 췌장 질환


  • 췌장 내분비 종양
  • * 인슐린종
  • * 글루카곤종
  • * 가스트린종
  • * WDHA 증후군
  • 췌담관 합류 이상
  • 췌장 낭종, 가성 췌장 낭종
  • 췌석
  • 지방 췌장

5. 역사

기원전 3세기, 고대 그리스의 해부학자이자 외과 의사인 헤로필로스가 췌장을 처음으로 확인했다.[30] 1세기경, 또 다른 그리스 해부학자인 에페소스의 루푸스가 췌장(pancreas)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pancreas'는 그리스어 πάγκρεας를 현대 라틴어로 번역한 것으로, πάγκρεας는 πᾶν ("모두", "전체")와 κρέας ("살")로 이루어져 있다.[31][32] 원래는 지라를 의미했지만, 문자 그대로는 모든 살, 즉 부드러운 조직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33]

1889년, 오스카 민코프스키는 개에게서 췌장을 제거하면 당뇨병에 걸린다는 것을 발견했다.[34] 이후 1921년 프레데릭 밴팅과 찰스 베스트는 췌장 섬에서 인슐린을 분리했다.[34]

췌장 조직을 관찰하는 방법도 변화했다. 이전에는 H&E 염색과 같은 간단한 염색 방법을 사용했다. 현재는 면역조직화학을 사용하여 세포 유형을 더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이는 특정 세포 유형의 생성물에 대한 가시적인 항체를 포함하며, 알파 세포 및 베타 세포와 같은 세포 유형을 더 쉽게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우다가와 겐신은 1805년에 간행된 『의범제강』에서 "pancreas"를 "췌장"으로 번역했다. 우다가와는 "살"을 나타내는 "月(달 월)"과 "모두"를 나타내는 "萃(모을 췌)"를 조합하여 膵(췌)를 만들었다.

6. 다른 동물에서의 췌장

모든 척추동물은 췌장 조직을 갖지만, 그 형태와 배열은 종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췌장은 최대 3개까지 있을 수 있는데, 그중 2개는 췌장 싹에서, 나머지 하나는 등쪽에서 발생한다. 사람을 포함한 대부분의 종에서 이들은 성체가 되면서 "융합"되지만, 몇몇 예외도 있다. 췌장이 하나만 존재하더라도 2~3개의 췌관이 유지될 수 있으며, 각 췌관은 십이지장(또는 앞창자의 해당 부분)으로 আলাদা하게 배출된다. 예를 들어, 조류는 일반적으로 3개의 췌관을 갖는다.[35]

경골어류토끼 등 몇몇 종에서는 뚜렷한 췌장이 아예 없고, 췌장 조직이 장간막 전체에 흩어져 있으며, 심지어 이나 비장 같은 다른 인접 장기 내에도 분포한다. 일부 경골어류 종에서는 내분비 조직이 융합되어 복강 내에 별개의 을 형성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외분비 조직 내에 흩어져 있다. 가장 원시적인 배열은 칠성장어와 폐어에서 나타나는데, 이들은 췌장 조직이 창자 벽 내에서 여러 개의 뚜렷한 결절 형태로 발견되며, 외분비 부분은 창자의 다른 샘 구조와 거의 구별되지 않는다.[35]

참조

[1] 서적 Essentials of Human Physiology
[2] 논문 "[Interaction of the endo- and exocrine pancreas]" 1985-09-21
[3] 웹사이트 Pancreas Gland - Endocrine System https://www.innerbod[...] 2021-06-12
[4] 웹사이트 Endocrine Pancreas - an overview ScienceDirect Topics https://www.scienced[...] 2021-06-12
[5] 논문 The pancreas as a single organ: the influence of the endocrine upon the exocrine part of the gland 1981-02
[6] 논문 Pancreatic Divisum: Pathophysiology https://emedicine.me[...] Medscape 2019-11-21
[7] 논문 Laparoscopic treatment of annular pancreas in adults: report of a case. 2012-02
[8] 웹사이트 The human proteome in pancreas – The Human Protein Atlas https://www.proteina[...] 2017-09-25
[9] 논문 Proteomics. Tissue-based map of the human proteome 2015-01
[10] 논문 The human pancreas proteome defined by transcriptomics and antibody-based profiling 2014-12-29
[11] 서적 Langman's medical embryology Wolters Kluwer 2019
[12] 서적 Human Embryology and Developmental Biology Elsevier
[13] 서적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14] 서적 Guyton and Hall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Elsevier 2016
[15] 서적 The Exocrine Pancreas https://www.ncbi.nlm[...] Morgan & Claypool Life Sciences 2011
[16] 논문 Chronic Cs-137 incorporation in children's organs.
[17] 논문 Cesium in Biology, Pancreatic Cancer, and Controversy in High and Low Radiation Exposure Damage—Scientific, Environmental, Geo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2021-01
[18] 논문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of solid and cystic lesions of the pancreas.
[19] 논문 Pancreatic adenocarcinoma 2014-09
[20] 웹사이트 Pancreatic Cancer Treatment (PDQ®) Patient Version http://www.cancer.go[...] 2014-04-17
[21] 논문 Recent progress in pancreatic cancer 2013-09
[22] 논문 Analysis of mortality rates for pancreatic cancer across the world
[23] 서적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24] 웹사이트 "American Cancer Society: Cancer Facts & Figures 2010: see page 4 for incidence estimates, and page 19 for survival percentages" http://www.cancer.or[...]
[25] 웹사이트 Pancreatic Cancer Treatment (PDQ®) Health Professional Version http://www.cancer.go[...] 2014-02-21
[26] 논문 Neuroendocrine pancreatic tumors: guidelines for management and update 2012-03
[27] 논문 Solid pseudopapillary neoplasm of the pancreas: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of 14 cases
[28] 서적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McGraw-Hill Education
[29] 논문 The management of acute and chronic pancreatitis 2010-02
[30] 서적 History of the Pancreas: Mysteries of a Hidden Orga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31] 서적 A2Z Book of word Origins https://books.google[...] Rupa Publications
[32] 웹사이트 Pancreas http://www.etymonlin[...] 2007-04-04
[33] 서적 The Greek and Latin Roots of English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34] 논문 Milestones in the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The main contributors. 2016-01-10
[35] 서적 The Vertebrate Body https://books.google[...] Holt-Saunders International
[36] 서적 Oxford Companion to Food, Oxford English Dictionary
[37] 서적 Leiths Techniques Bible Bloomsbury 2003
[38] 웹사이트 Physiology at MCG http://www.lib.mcg.e[...]
[39] 논문 特集 病期別にみた糖尿病およびその合併症への新しい対策 膵β細胞不全からみた2型糖尿病の病期とそれに応じた対策 https://doi.org/10.1[...] 2002
[40] 간행물 4.鉄過剰と膵障害・糖尿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